인문학 ‘논어’로 풀어보는 나이 - 미니자서전 류창희 감히, 자서전이라니요. ‘운기칠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한고비 고비마다 겨우겨우 통과했죠. ‘지금, 여기’있다는 것이 스스로 기특합니다. 저는 현재 논어를 읽고 있으니, 춘추전국시대 논어 속 공자님의 나이 나눔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공자께서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고, 마흔 살에 의혹하지 않았고, 쉰 살에 천명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論語爲政〕 논어의 문구는 짧고 경쾌합니다. 왜냐? 공자와 공자 제자들이 서..
군아쟁병 群兒爭餠 코 묻은 떡 柳夢寅(1559~1623)은 성품이 각지고 앙칼졌다. 불의를 참지 못했다. ‘지난해 기근이 들었을 때 아이들이 떡을 두고 다투기에 가서 살펴보니 콧물이 미끌거립디다. 몽인은 강호에 살면서 한가하여 아무 일이 없습니다. 지난해에는 《춘추좌씨전》을 읽고, 올해는 두보의 시를 외우고 있습니다. 이는 참으로 노년의 벗이라 하겠습니다. 이것으로 여생을 보내기에 충분합니다. 아이들과 콧물 묻은 떡을 다투는 일 같은 것은 원하는 바가 아니올시다.’ 얼마 후, 그는 아예 금강산으로 들어가 을 지었다. ‘일흔 살 늙은 과부 / 홀로 살며 빈방 지켜. 女史의 시 익히 읽고 / 妊姒 훈계 잘 안다네. 이웃이 개가 권하며 / 신랑 얼굴 잘났다고. 흰머리로 단장하면 / 연지분에 부끄럽지.’ 선거철..
耕田鑿井(경전착정) 맹자 왈 “覇者의 백성들은 매우 즐거워하고 王者의 백성들은 皥皥하다.” -맹자 진심 장구 상 13문장- ' 호호(皥皥)'는 광대하여 스스로 만족 해 하는 모양이다. ‘내 밭을 갈아 먹고, 내 우물을 파서 먹으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엇이 있겠는가.’ 한 것은, 하늘의 자연과 같으니, 이는 바로 王者의 政事이다. 요임금 때에 어떤 노인이 배를 두들기며 격양가를 부르기를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쉰다. 내 밭을 갈아 먹고 내 우물을 파서 마시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엇이 있겠는가. --------- 통치자가 누구인줄 모르는 마치 산소와 같고, 햇볕과 같고 어머니와 같이 자연스러운 호호현상이다. 소시민의 만족하게 여기는 일상생활이다. 그런데, 나는 도무지 호호하지 못하니 병통이다...
농단 용단 壟斷 〔龍斷〕 맹자 공손추 하 10장 문장 맹자께서 신하됨을 내놓고 떠나실 적에 왕이 맹자를 찾아뵙고 말씀하였다. “지난날에 뵙기를 원했으나 뵐 수 없었는데, 모시게 되자, 조정에 함께 있는 사람들이 매우 기뻐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또다시 寡人을 버리고 돌아가시니, 알지 못하겠습니다. 이 뒤로 계속하여 선생님을 뵐 수 있겠습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감이 청하지는 못할지언정, 진실로 원하는 바입니다. 다른 날에 왕이 시자를 보고 말씀하였다 “내 國中(서울)에다가 맹자에게 집을 지어주고 제자들을 만종록으로 길러 여러 대부들과 국민들로 하여금 모두 공경하고 본 받는 바가 있게 하려고 하니, 자네는 어찌 나를 위하여 말해주지 않는가?” 시자가 진자를 통하여 맹자에게 아뢰게 하자, 진자가 시자의..
* 徹法 : 주(周)나라 때의 조세법(租稅法). 백무(百畝)의 사전(私田)을 받은 사람이 십무(十畝)의 공전(公田)을 경작하여 그 수확을 관청에 바침. 곧, 십분지일(十分之一)의 납세(納稅)법. 애공이 유약에게 물었다. “해에 흉년이 들어서 재용이 부족하니, 어찌하겠는가?” 유약이 대답하였다. “어찌하여 철법을 쓰지 않습니까?” 애공이 말하였다. “10분의 2도 내 오히려 부족하니, 어찌 철법을 쓰겠는가?” 유약이 대답하였다.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께서 누구와 더불어 부족하실 것이며, 백성이 풍족하지 못하다면 임금께서 누구와 더불어 풍족하시겠습니까?” 哀公 問於有若曰 年饑用不足 如之何 有若對曰 盍徹乎 曰 二 吾猶不足 如之何其徹也 對曰 百姓足 君孰與不足 百姓不足 君孰與足 - 안연편 류창희 논어에세이 빈빈 ..
단동십훈(檀童十訓)은 한국의 전통 육아법으로 아기를 어르는 방법이다. '도리도리', '곤지곤지', '지암지암(잼잼)', '짝자쿵(작작궁)' 등의 놀이로 아기의 인지를 발달시키는 놀이이기도 한다. 아기의 운동 기능과 뇌신경 발달을 돕고 소근육의 발달을 촉진하는 과학적인 놀이이다. 단동십훈을 통해 아기는 걸음마 연습, 주먹 쥐기, 손바닥 찧기, 고개 흔들기, 손뼉 치고 춤추기를 배운다. 그 음에도 깊은 뜻이 담겨있는데 예를 들어 도리도리는 고개를 좌우로 살피면서 만물의 이치와 사람된 도리를 알라는 뜻이다. 1. 불아불아(弗亞弗亞) '불(弗)'이란 기운이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것이고 '아(亞)'란 땅에서 하늘로 올라가는 형상이다. 이처럼 기운이 순환하여 무궁무진한 생명력의 발현인 아이의 자기 존중심을 키우..
'진실로 하루라도 새롭고저 한다면,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이 구절은 대학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湯 임금은 중국 고대국가인 商 나라를 세웠습니다. 폭군이었던 桀왕을 무력으로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신하가 무력으로 왕을 몰아냈다는 것은 논란거리이지만 堯舜禹湯文武의 이상적인 군주로도 불립니다 ----------------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 태통령이 탄핵되었습니다 촛불집회의 염원이 통했을까요 뭇별들에 의하여 北晨은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지난 겨울과 봄이 혹독한 추위는 없었지만 마음이 몹씨도 씁쓸한 계절을 맞이했습니다 타성에 젖었던 자신을 '리셋 코리아'에 맞춰, '리셋 자신'하는 중입니다
슬관(蝨官) : 나라를 좀먹는 악덕 관리.슬처곤중 (蝨處褌中) : 이가 잠방이 속에 숨어 삶. 식견이 좁아 목전의 편안만을 만족히 여김의 비유.슬처두수이흑 (蝨處頭而黑) : 흰 이도 머리에 있으면 까매짐. 사람도 사귀는 사람에 의하여 성질이 변함의 비유. 슬 (蝨) : 포유동물의 외부에 기생하여 피를 빨아먹는 작은 곤충. -------------- 각자 앉은자리 선자리에서 당당해지려면 '제밥벌이'를 해야한다 슬관 (蝨官)처럼, 잠방이 속에 숨어 사람의 피나 빨아먹는 이가 되어서는 안된다 나도 남편도 아들도 며느리도 손자도 ... 살아있는 동안, 우리 가족 모두는 기생하는 곤충이 되어서는 안된다 밥값을 해야 사람이다. 2017년 3월 10일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대통령 탄핵인증을 지켜보며'나는 어떻게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