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 倫000 孟子曰 設爲庠序學校하여 以敎之는 皆所以明人倫也라하시니 稽聖經하며 訂賢傳하여 述此篇하여 以訓蒙士하노라. 001 內則曰 子事父母하되 鷄初鳴이어든 咸盥漱하며 櫛縰笄總하며 拂髦하며 冠緌纓하며 端韠紳하며 搢笏하며 左右佩用하며 偪屨著綦니라. 婦事舅姑하되 如事父母하여 鷄初鳴이어든 咸盥漱하며 櫛縰笄總하며 衣紳하며 左右佩用하며 衿纓綦屨니라. 以適父母舅姑之所하되 及所하여 下氣怡聲하여 問衣燠寒하며 疾痛苛癢에 而敬抑搔之하며 出入則或先或後하여 而敬扶持之니라. 進盥할새 少者는 奉槃하고 長者는 奉水하여 請沃盥하고 盥卒授巾이니라. 問所欲而敬進之하되 柔色以溫之하여 父母舅姑, 必嘗之而後에退니라. 男女未冠笄者, 鷄初鳴이어든 咸盥漱하며 櫛縰하며 拂髦하며 總角하며 衿纓하여 皆佩容臭하고 昧爽而朝하여 問何食飮矣오하여 若己食則退하고 ..
敬 身000 孔子曰 君子無不敬也나 敬身이 爲大하니라 身也者는 親之枝也니 敢不敬與아 不能敬其身이면 是는 傷其親이요 傷其親이면 是는 傷其本이니 傷其本이면 枝從而亡이라하시니 仰聖模하며 景賢範하여 述此篇하여 以訓蒙士하노라. 001 丹書曰 敬勝怠者는 吉하고 怠勝敬者는 滅하며 義勝欲者는 從하고 欲勝義者는 凶하니라. 002 曲禮曰 毋不敬하여 儼若思하며 安定辭하면 安民哉인저. 敖不可長이며 欲不可從이며 志不可滿이며 樂不可極이니라. 賢者는 狎而敬之하고 畏而愛之하며 愛而知其惡하고 憎而知其善하며 積而能散하며 安安而能遷하나니라. 臨財毋苟得하며 臨難毋苟免하며 狠毋求勝하며 分毋求多니라. 疑事를 毋質하여 直而勿有니라. 003 孔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004 出門如見大賓하고 使民如承大祭하며 己所不欲..
稽 古000 孟子道性善하사되 言必稱堯舜이러시니 其言曰 舜은 爲法於天下하사 可傳於後世어시늘 我는 猶未免爲鄕人也하니 是則可憂也라. 憂之如何오 如舜而已矣라하시니 摭往行하며 實前言하여 述此篇하여 使讀者로 有所興起하노라. 001 太任은 文王之母시니 摯任氏之中女也러시니 王季娶以爲妃하시니라. 太任之性이 端一誠莊하사 惟德之行하도시니 及其娠文王하사 目不視惡色하시며 耳不聽淫聲하시며 口不出敖言이러시니 生文王而明聖하여 太任이 敎之以一而識百이러시니 卒爲周宗하시니 君子謂太任이 爲能胎敎라하니라. 002 孟軻之母 其舍近墓러니 孟子之少也에 嬉戱에 爲墓間之事하여 踊躍築埋어시늘 孟母曰 此는 非所以居子也라하고 乃去舍市하니 其嬉戱에 爲賈衒이어시늘 孟母曰 此는 非所以居子也라하고 乃徙舍學宮之旁하니 其嬉戱에 乃設俎豆하여 揖讓進退어시는 孟母曰 此는..
嘉 言000 詩曰 天生烝民하시니 有物有則이로다. 民之秉彝라 好是懿德이라하여늘 孔子曰 爲此詩者여 其知道乎인저 故로 有物必有則이니 民之秉彝也라. 故로 好是懿德이라하시니 歷傳記하며 接見聞하여 述嘉言하며 紀善行하여 爲小學外篇하노라. 001 橫渠張先生曰 敎小兒하되 先要安詳恭敬이니 今世에 學不講하여 男女從幼便驕惰壞了하여 到長益凶狠하나니 只爲未嘗爲子弟之事라. 則於其親에 已有物我하여 不肯屈下하여 病根常在하여 又隨所居而長하여 至死只依舊하나니라. 爲子弟則不能安灑掃應對하고 接朋友則不能下朋友하고 有官長則不能下官長하고 爲宰相則不能下天下之賢이니라. 甚則至於徇私意하여 義理都喪也하나니 只爲病根不去하여 隨所居所接而長이니라. 002 楊文公家訓曰 童穉之學은 不止記誦이라. 養其良知良能이니 當以先人之言으로 爲主니라. 日記故事하여 不拘今古하되..
善 行 001 呂滎公의 名은 希哲이요 字는 原明이니 申國正獻公之長子라 正獻公이 居家에 簡重寡黙하여 不以事物經心하고 而申國夫人이 性嚴有法度하여 雖甚愛公하나 然 敎公하되 事事를 循蹈規矩하니라. 甫十歲에 祁寒暑雨라도 侍立終日하여 不命之坐어든不敢坐也하니라 日必冠帶하여 以見長者하며 平居에 雖甚熱이라도 在父母長者之側하여 不得去巾襪縳袴하여 衣服唯謹하니라. 行步出入에 無得入茶肆酒肆하며 市井里巷之語와 鄭衛之音을 未嘗一經於耳하며 不正之書와 非禮之色을 未嘗一接於目하니라. 正獻公이 通判潁州에 歐陽公이 適知州事러니 焦先生千之伯强이 客文忠公所하여 嚴毅方正이어늘 正獻公이 招延之하여 使敎諸子하더니 諸生이 小有過差어든先生이 端坐하여 召與相對하여 終日竟夕하되 不與之語라가 諸生이 恐懼畏伏이어야 先生이 方略降辭色하니라. 時에 公이 方十餘歲..
明心寶鑑 繼善篇 天命篇順命篇孝行篇正己篇安分篇存心篇戒性篇勤學篇訓子篇省心篇 (上)省心篇 (下)立敎篇治政篇治家篇安義篇遵禮篇言語篇交友篇婦行篇增補篇八反歌孝行篇(續)廉義篇勸學篇 *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漢昭烈이 將終에 勅後主曰 勿以善小而不爲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莊子曰 一日不念善이면 諸惡이 皆自起니라 *太公曰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 又曰 善事는 須貪하고 惡事는 莫樂하라 *馬援曰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요 一日行惡이라도 惡自有餘니라 *司馬溫公曰 積金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守요 積書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讀니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하여 以爲子孫之計也니라 *景行錄曰 恩義를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랴 讐怨을 莫結하라 路逢狹處면 難回避니라 *莊子曰 於我善者도 我亦善之하고 於我惡者도 我..
推句 天高日月明地厚草木生天高日月明地厚草木生東西幾萬里南北不能尺東西幾萬里南北不能尺東西日月門南北鴻雁路東西日月門南北鴻雁路春作四時首人爲萬物靈春作四時首人爲萬物靈天晴一雁遠海闊孤帆遲天晴一雁遠海闊孤帆遲盛夏衣輕葛嚴冬着重裘盛夏衣輕葛嚴冬着重裘秋涼黃菊發冬寒白雪來秋涼黃菊發冬寒白雪來春水滿四澤夏雲多奇峰春水滿四澤夏雲多奇峰秋月揚明輝冬嶺秀孤松秋月揚明輝冬嶺秀孤松日月千年鏡江山萬古屛日月千年鏡江山萬古屛日暖花爭發風和鳥相呼日暖花爭發風和鳥相呼日暮鷄登塒天寒鳥入簷日暮鷄登塒天寒鳥入簷月出天開眼山高地擧頭月出天開眼山高地擧頭月明愛無眠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花落憐不掃月到梧桐上風來楊柳邊月到梧桐上風來楊柳邊明月松間照淸泉石上流明月松間照淸泉石上流月爲大將軍星作百萬師月爲大將軍星作百萬師流星直如箭半月曲似弓流星直如箭半月曲似弓風多楊柳岸春深杏花村風多楊柳岸春深杏花村風驅群飛雁月送獨去舟風驅群飛雁..
四字小學 父生我身 母鞠我身 腹以懷我 乳以哺我以衣溫我 以食飽我 恩高如天 德厚似地爲人子者 曷不爲孝 欲報其德 昊天罔極晨必先起 必盥必漱 昏定晨省 冬溫夏凊父母呼我 唯而趨進 父母使我 勿逆勿怠父母有命 俯首敬聽 坐命坐聽 立命立聽父母出入 每必起立 父母衣服 勿踰勿踐父母有疾 憂而謀瘳 對案不食 思得良饌出必告之 反必面之 愼勿遠遊 遊必有方出入門戶 開閉必恭 勿立門中 勿坐房中行勿慢步 坐勿倚身 口勿雜談 手勿雜戱膝前勿坐 親面勿仰 須勿放笑 亦勿高聲侍坐父母 勿怒責人 侍坐親前 勿踞勿臥獻物父母 跪而進之 與我飮食 跪而受之器有飮食 不與勿食 若得美味 歸獻父母衣服雖惡 與之必着 飮食雖厭 與之必食父母無衣 勿思我衣 父母無食 勿思我食身體髮膚 勿毁勿傷 衣服帶靴 勿失勿裂父母愛之 喜而勿忘 父母責之 反省勿怨勿登高樹 父母憂之 勿泳深淵 父母念之勿與人鬪 父母不安 室堂有..
고대 성인 공자(BC 551~479)가 편집했다고 하는데 그는 이를 문학적 표현의 정형이라고 일컬었다. 많은 주제를 포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재가 줄곧 "즐겁되 음탕하지 않고 슬프되 상심하지 않기"(樂而不淫, 哀而不傷) 때문이다. 주(周)나라 초기(BC 11세기)부터 춘추시대 중기(BC 6세기)까지의 시가 305편을 모았다. 크게 풍(風)·아(雅)·송(頌)으로 분류되며 모두 노래로 부를 수 있다. 풍은 민간에서 채집한 노래로 모두 160편이다. 여러 나라의 노래가 수집되어 있다고 하여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는데, 주남(周南)·소남(召南)·패(邶)·용(鄘)·위(衛)·왕(王)·정(鄭)·제(齊)·위(魏)·당(唐)·진(秦)·진(陳)·회(檜)·조(曹)·빈(豳)의 15개국 노래로 분류된다. 대부분이 서정시로..
제남시 산동성 곡부 공자의 고향 곡부(曲阜) (일명-취푸) 산동반도에 있는 곡부는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孔子)의 출생지이며, 2,4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노나라의 수도였던 곳으로 유명하다. 공자의 사당인 공묘(孔廟)와 공자가 집무를 보고 가족들이 거처하던 공부(孔附), 공자의 무덤이 있는 공림(孔林)이 있다. 세 가지는 모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다. ▶공묘(孔廟) : 공묘는 공자 사후 1년인 기원전 480년경(2,500백 년 전)에 세워진 후 각 왕조(王朝) 때마다 공묘에 건물을 지었으며, 공묘는 현재 중국의 가장 큰 사당으로 정원에 있는 수명을 알 수 없는 거대한 고목들과 닳고 닳은 바닥의 돌들은 공묘의 오랜 역사를 말해주는 듯하다, 공묘의 본전(本殿)인 대성전(大成殿)은 북경 고궁(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