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十八. 微 子
01 微子는 去之하고 箕子는 爲之奴하고 比干은 諫而死하니라 孔子曰 殷有三仁焉하니라
02 柳下惠爲士師하야 三黜이어늘 人이曰 子未可以去乎아
曰直道而事人이면 焉往而不三黜이며 枉道而事人이면 何必去父母之邦이리오
03 齊景公이 待孔子曰 若季氏則吾不能이어니와 以季孟之間으로 待之호리라하고
曰吾老矣라 不能用也한대 孔子行하시다
04 齊人이 歸女樂이어늘 季桓子受之하고 三日不朝한대 孔子行하시다
05 楚狂接輿歌而過孔子 曰鳳兮鳳兮여 何德之衰오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已而已而어다 今之從政者 殆而니라
孔子下하사 欲與之言이러시니 趨而辟之하니 不得與之言하시다
06 長沮桀溺이 耦而耕이어늘 孔子過之하실새 使子路로 問津焉하신대
長沮曰 夫執輿者爲誰오 子路曰 爲孔丘시니라
曰是魯孔丘與아 曰是也시니라 曰是知津矣니라
問於桀溺한대 桀溺이 曰子爲誰오 曰爲仲由로라 曰是魯孔丘之徒與아 對曰然하다
曰滔滔者 天下皆是也니 而誰以易之리오
且而與其從辟人之士也론 豈若從辟世之士哉리오하고 耰而不輟하더라
子路行하야 以告한대 夫子憮然曰 鳥獸는不可與同群이니 吾非斯人之徒를 與오
而誰與리오 天下有道면 丘不與易也니라
07 子路從而後러니 遇丈人이 以杖荷蓧하야 子路問曰 子見夫子乎아
丈人이曰 四體를不勤하며 五穀을不分하나니 孰爲夫子오하고 植其杖而芸하더라
子路拱而立한대 止子路宿하야 殺鷄爲黍而食之하고 見其二子焉이어늘
明日에 子路行하야 以告한대 子曰 隱者也로다하시고 使子路로 反見之하시니 至則行矣러라
子路曰 不仕無義하니 長幼之節을 不可廢也니 君臣之義를 如之何其廢之리오
欲潔其身而亂大倫이로다
君子之仕也는 行其義也니 道之不行은 已知之矣시니라
08 逸民은 伯夷와 叔齊와 虞仲과 夷逸과 朱張과 柳下惠와 少連이니라
子曰 不降其志하며 不辱其身은 伯夷叔齊與인저 謂柳下惠少連하사대
降志辱身矣나 言中倫하며 行中慮하니 其斯而已矣니라
謂虞仲夷逸하사대 隱居放言하나 身中淸하며 廢中權이니라 我則異於是하야 無可無不可호라
09 大師摯는 適齊하고 亞飯干은 適楚하고 三飯繚는 適蔡하고 四飯缺은 適秦하고
鼓方叔은 入於河하고 播鼗武는 入於漢하고 少師陽과 擊磬襄은 入於海하니라
10 周公이 謂魯公曰 君子不施其親하며 不使大臣으로 怨乎不以하며
故舊 無大故則不棄也하며 無求備於一人이니라
11 周有八士하니 伯達과 伯适과 仲突과 仲忽과 叔夜와 叔夏와 季隨와 季騧니라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13 자로 (0) | 2017.02.21 |
---|---|
논어 15 위령공 (0) | 2017.02.21 |
논어 16 (季氏 第 十六) (0) | 2017.02.21 |
논어 17(陽貨 第 十七) (0) | 2017.02.21 |
논어 19 (子張 第十九 )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