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지방을 쓸 때에는 몸을 청결하게 하고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가로 6cm 세로 22cm정도로 한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 벼슬이 없으면 學生(학생)을 쓰고, 벼슬이 정일품 이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쓰고,
그 부인의 경우 정경부인(貞敬夫人)를 유인(孺人)대신으로 쓴다.
남자의 지방의 考(고)는 父(부)와 같고(생전에는 父(부)라하고 사후에는 考(고)라 한다.
생전에는 母(모)라하고 사후에는 妣(비)라 한다. 여자의 경우 유인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 지방은 되도록 가늘게 써야한다.
이유는 부모를 생각하면 눈앞에 나타나고 생각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가늘고 삐뚤빼뚤 써야함은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에 눈물이 앞을 가려 손이 떨리고 오열이 나기 때문이다.
(이 말은 지방을 멋있게 잘 쓰기보다는 조금 못 써도 사무치게 사랑하는 부모자식간이 효도의 우선이라는 말이다.)
예)
부(아버지) 顯考學生府君 神位(현고학생부군 신위)
모(어머니) 顯妣孺人全州李氏 神位(현비유인전주이씨 신위)
조부(할아버지) 顯祖考學生府君 神位(현조고학생부군 신위)
조모(할머니) 顯祖妣孺人金海金氏 神位(현조비유인김해김씨 신위)